2025/05 2

소셜 로그인의 구조화

들어가며글을 쓰기에 앞서 네이버/카카오/구글 등 업체는 소셜 프로바이더로, 이 업체의 서비스를 이용해 로그인하는 방식은 소셜 로그인이라고 칭한다. 또, 카카오 기준으로 '인카 코드'는 code로, '코드'는 access token으로 칭한다. 소셜 로그인을 지원하지 않는 서비스는 이제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 압도적인 편의성은 사용자를 끌어모으는데 큰 역할을 한다. 서비스를 만드는 입장에서도 상당히 편리하다. 복잡한 회원 서비스를 훨씬 간단하게 만들어준다. 하지만 항상 간단한 것은 아니다.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 수준에서 구현해보면 특유의 진입점 컨트롤이 생각보다 어렵다는 것을 금새 깨닫게 된다. 특이하게도 소셜 로그인은 예제가 많지만 실제 서비스 수준에서 쓰기에는 매우 부적절한 '토이 프로젝..

회원통합 프로젝트에 대한 회고

들어가며작년 10월 말부터 신규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다. 야놀자, 인터파크, 트리플 3개 회사를 통합하면서 회원 체계, 그리고 로그인 시스템도 통합한다는 장대한 꿈의 프로젝트였다. 요즘 추세에 맞춰 간단한 UI와 과정으로 회원의 상태를 전환할 수 있게 하기로 하였기에 혼자서 진행하기로 했다. 하지만 내용이 점점 더 많아지고, 많은 경우의 수를 대응하자는 요청이 있었다. 결국 팀원 한명이 더 투입되어 FE는 2명이 개발하게 되었다. 업무 방식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기획에서 모든 플로우를 정하는 것이 아니라, 디자이너가 유저 플로우를 담당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유저 친화적이라는 장점도 있지만, 개발 측면에서 고려되지 않은 내용들이 다수 추가됨에 따라 FE에 업무적 압박감이 더욱 커졌다. 가장 문제가..